목차
URL의 구조

- protocol: 통신규약,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할 때 어떤 방식으로 통신할 지 정의한다.
- HTTP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: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서로 데이터(하이퍼 텍스트)를 주고받기 위해 만든 통신규약
- HTTPS(Hyper Text Transter Protocol Secure): HTTP에서 보안이 강화된 버전. 자세한 설명은 영상을 참고
- host(domain):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각각의 컴퓨터를 가리키는 주소
- port: 포트번호
- 한 개의 컴퓨터엔 여러 개의 서버가 존재할 수 있다. 즉, 포트번호를 통해 어떤 서버를 이용할 지 결정한다.
- 웹서버는 전세계적으로 80번 포트를 이용하는 것이 표준이다. 따라서 url엔 기본적으로 포트번호 80이 생략되어 있다
- path: 컴퓨터 내부에 있는 디렉토리의 파일을 가리킨다. 즉, 자원의 경로를 의미한다.
- query string: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.
- 쿼리 스트링의 시작은 "?"이고, 각 key-value쌍은 "&"로 구분된다.
'CS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HTTP의 이해3: HTTP Terminologies (0) | 2021.02.14 |
---|---|
[네트워크] HTTP의 이해2: HTTP Request-Response Messages (0) | 2021.02.06 |
[네트워크] HTTP의 이해1: Client-Server Model, HTTP Protocol (0) | 2021.02.06 |
[네트워크] TCP/IP (0) | 2021.02.06 |
URL의 구조

- protocol: 통신규약,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할 때 어떤 방식으로 통신할 지 정의한다.
- HTTP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: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서로 데이터(하이퍼 텍스트)를 주고받기 위해 만든 통신규약
- HTTPS(Hyper Text Transter Protocol Secure): HTTP에서 보안이 강화된 버전. 자세한 설명은 영상을 참고
- host(domain):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각각의 컴퓨터를 가리키는 주소
- port: 포트번호
- 한 개의 컴퓨터엔 여러 개의 서버가 존재할 수 있다. 즉, 포트번호를 통해 어떤 서버를 이용할 지 결정한다.
- 웹서버는 전세계적으로 80번 포트를 이용하는 것이 표준이다. 따라서 url엔 기본적으로 포트번호 80이 생략되어 있다
- path: 컴퓨터 내부에 있는 디렉토리의 파일을 가리킨다. 즉, 자원의 경로를 의미한다.
- query string: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.
- 쿼리 스트링의 시작은 "?"이고, 각 key-value쌍은 "&"로 구분된다.
'CS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HTTP의 이해3: HTTP Terminologies (0) | 2021.02.14 |
---|---|
[네트워크] HTTP의 이해2: HTTP Request-Response Messages (0) | 2021.02.06 |
[네트워크] HTTP의 이해1: Client-Server Model, HTTP Protocol (0) | 2021.02.06 |
[네트워크] TCP/IP (0) | 2021.02.06 |